Crystal Industry Innovation

Introduction

석영 유리는 높은 순도의 무수규산(Sio2)을 융용한 것으로서 수정을 원료로 한 석영 유리이다. 형태로는 투명석영 글라스와 불투명 글라스( Opaque )로 나뉜다.
수정으로 부터 생산되는 투명제품은 Quartz Glass, 모래로 부터 제조되는 불투명 제품을 Silica Glass라고 하였으나, 오늘날은 두가지 다 융용퀄츠라고 한다.

  • [불투명글래스]

  • [투명글래스]

석영유리의 특성은 고순도의 무수규산을 높은 온도로 융용하기 때문에 불순물 함유량이 극히 미량이다. 때문에 반도체 공업용과 실리콘 정제 장치등에 사용된다.
또한, 다른 재료에 비해 가스 함유량이 적어 높은 온도에서 안정성을 유지해 반도체등의 고온 공정에서 많이 사용된다.

석영유리의 열팽창 계수(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는 5.5×10-7cm/cm℃ 로 타 재료에 비해 매우 적으며, 도자기나 경질 유리의 1/6, 판유리의 1/200이다. 때문에 급열, 급냉에 대한 높은 내열성을 가지고 있다.
비열( Specific Heat )은 890~1,140J/Kg( 20~1000 ) 이며, 열전도율( Thermal Conductivity 0℃~1.3w/mk , 100℃~1.5w/mk)은 다소 낮은 편이다.
불투명과 투명석영의 비열은 비슷하나 열전도율은 불투명 석영이 다소 낮은 편이다.
전기 전도를 생기게하는 알카리 성분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아 부도체이며, 모든 주파수에 대해 조금밖에 유전체 손실을 갖지 않는다.

  • [석영융용공정]

굽힘 강도 및 인장강도는 표면의 상태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만 석영자재 규격이 커질수록 약한 경향이 있고, 탄성율, 굽힘강도, 인장강도는 온도 상승에 강해지며 800~900도에서 최고이다.
하지만 1100도 이상에서는 석영자체의 점성이 저하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비틀림 및 뒤틀림이 생길 수 있다.

UV투과에서는 낮은 주파수 영역에서 높은 투과율을 나타내며, 합성 석영 ( Synthetic Quartz )은 뛰어난 투과율 때문에 유기 EL ( 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 ) 분야에 많이 사용된다.